
전기증설이나 신설 공사를 진행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이 바로 한전불입금입니다. 정식 명칭은 표준시설부담금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 전기공급 설비를 설치하거나 증설할 때 고객이 부담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최근 연료비 연동제 시행과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해 한전불입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있어 정확한 계산법을 알고 있어야 예상치 못한 비용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전기공급약관 별표4에 명시된 표준시설부담금 단가표를 통해 체계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전불입금 계산법과 기본 구조
한전불입금은 기본시설부담금과 거리시설부담금으로 구성됩니다. 기본시설부담금은 공사 발생 여부나 공사 내역에 관계없이 신설 또는 증설분 계약전력에 전기공급약관 별표4 표준시설부담금 단가표의 기본시설부담금 단가를 곱한 금액입니다.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5KW까지는 기본 금액이 적용되고, 5KW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KW당 단가가 별도로 적용됩니다. 거리시설부담금은 기본거리(공중 200m, 지중 50m)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추가로 부과되는 비용입니다.
- 기본시설부담금: 5KW까지 기본요금 + 초과분 KW당 단가
- 거리시설부담금: 기본거리 초과 시 미터당 추가 요금
- 공급방식: 공중공급(전주 이용) 또는 지중공급(땅속 매설)
- 전압구분: 저압, 고압, 특별고압에 따른 차등 적용
표준시설부담금 단가표 확인 방법
한전에서 제공하는 표준시설부담금 단가표는 전기공급약관 별표4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전 사이버지점 홈페이지나 전기요금계산기에서 최신 단가표를 조회할 수 있으며, 단가는 정기적으로 조정됩니다.
2024년 기준 표준시설부담금 단가표에 따르면 가공공급의 경우 저압 5KW까지 336,600원이며, 5KW 초과분은 KW당 133,100원이 적용됩니다. 지중공급의 경우 저압 5KW까지 646,800원, 5KW 초과분은 KW당 155,100원이 부과됩니다.
| 구분 | 공급방식 | 5KW까지 | 5KW 초과분(KW당) |
| 저압 | 가공공급 | 336,600원 | 133,100원 |
| 저압 | 지중공급 | 646,800원 | 155,100원 |
| 고압 | 가공공급 | 별도 산정 | 19,000원 |
| 고압 | 지중공급 | 별도 산정 | 별도 산정 |
공중공급과 지중공급 단가 차이점
공중공급과 지중공급은 전기를 공급받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단가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공중공급은 지상에 전주를 세우고 공중 전선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방법이고, 지중공급은 땅속에 케이블을 매설하여 전기를 공급받는 방식입니다.
지중공급이 공중공급보다 비용이 높은 이유는 지하 케이블 매설과 관련된 공사비가 더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도심지나 신도시 지역은 대부분 지중공급으로 계획되어 있어 더 높은 한전불입금을 부담해야 합니다. 지역별로 공급방식이 정해져 있으므로 선택권은 없습니다.
- 공중공급: 전주 설치, 상대적으로 저렴한 공사비
- 지중공급: 지하 케이블 매설, 높은 공사비로 인한 비용 증가
- 도심지: 대부분 지중공급 방식으로 구축
- 농촌지역: 주로 공중공급 방식 적용
온라인 계산기 활용
한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전기요금계산기를 활용하면 한전불입금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한전 사이버지점 홈페이지의 전기요금계산기 메뉴에서 표준시설부담금 계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계산기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계약전력량을 KW 단위로 입력하고, 공급방식(공중/지중)을 선택한 후 전압(저압/고압)을 설정합니다. 거리시설부담금 계산이 필요한 경우 기본거리 초과분을 미터 단위로 입력하면 총 한전불입금이 자동 계산됩니다.
| 입력 항목 | 단위 | 예시 | 비고 |
| 계약전력 | KW | 20KW | 필요한 전력량 |
| 공급방식 | 선택 | 지중공급 | 지역별 고정 |
| 전압구분 | 선택 | 저압 | 사용 전압 |
| 공사거리 | m | 300m | 기본거리 초과분만 |
한전불입금 절약 방법과 주의사항
한전불입금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계약전력량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전력 증설은 불필요한 비용 부담을 초래하므로 실제 필요한 전력량을 정확히 계산한 후 증설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전문 전기공사업체와 상담하여 장비 리스트와 사용 시간, 동시 사용률 등을 고려한 최적의 계약전력을 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단계적 증설을 통해 초기 투자 비용을 줄이고, 향후 필요에 따라 추가 증설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적정 계약전력 산정: 실제 필요 전력량 정확한 계산
- 전문업체 상담: 장비 리스트와 동시 사용률 검토
- 단계적 증설: 초기 비용 절약과 향후 확장성 고려
- 부가세 별도: 모든 한전불입금에는 부가세 10% 추가
학교 앞 주정차 허용시간, 1분 실수로 12만원 날렸습니다
학교 앞 주정차 허용시간 을 모른 채 아이를 태우러 잠깐 세웠다가 12만원 과태료 폭탄을 맞은 학부모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2021년 10월 21일부터 어린이보호구역 내 모든 도로에서 주정차가 전
3rd.trytoacttogether.com
자동차 소음기 교체 비용 및 대처
운전 중 배기구에서 굉음이 들린다면 소음기에 문제가 생긴 신호입니다. 자동차 소음기 교체 비용은 차종과 부품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30만원에서 50만원 사이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소
3rd.trytoacttogether.com